
주요경력
-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(학사, 석사, 박사)
- 上海 復旦大學, 北京語言大學, 國立臺灣師範大學 중국어 교수법 연수
- 고려대학교, 홍익대학교 강사
- 중국어문연구회 부회장, 중국문화연구학회 운영이사, 한국중국문학이론학회 운영위원, 서울역사박물관 초서연구위원
- 고등학교졸업학력검정고시 출제위원, 고등학교 2종교과용도서검정 연구위원,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
연구실적
- [논문]
- 《王船山詩論硏究》(1992)(석사)
- 《王夫之 詩學의 硏究》(2003)(박사)
- 〈王夫之《詩譯》과 시가심미예술론〉(2000)
- 〈王夫之 시론상 '興會'개념에 대한 고찰〉(2000)
- 〈王夫之 시론상 '現量'에 대한 시가미학적 고찰〉(2001)
- 〈王夫之의 詩道性情論〉(2002)
- 〈王夫之 시론상의 '意勢'論〉(2002)
- 〈王夫之《夕堂永日緖論內篇》에 대한 역주(第1에서 第10條目까지)〉(2004)
- 〈《文心雕龍・定勢》의 해제와 역주〉(2004)
- 〈중국시론상 '興會'의 역사성과 문예미학적 의의〉(2004)
- 〈王夫之《詩譯》에 대한 역주〉(2003)
- 〈王夫之《夕堂永日緖論內篇》에 대한 역주(第11에서 第20條目까지)〉(2005)
- 〈王夫之 ‘興觀群怨’에 대한 해석과 운용〉(2005)
- 〈王夫之《夕堂永日緖論內篇》에 대한 역주(第21에서 第30條目까지)〉(2005)
- 〈왕부지 시론상의 ‘溫柔敦厚’論〉 (2006)
- 〈王夫之 《夕堂永日緖論內編》에 대한 譯註와 詩論(第31條目에서 제35條目까지)《(2006)
- 〈王夫之 《夕堂永日緖論內編》( 36에서 40조목까지의 시론 탐구〉(2007)
- 〈王夫之 《詩譯》의 ‘簡至’‘韻意不雙轉’論고찰〉(2007)
- 〈王夫之 詩論의 형성배경 고찰(1)〉 (- 父兄과 스승의 영향을 중심으로-)(2007)
- 〈王夫之의 鍾嶸 詩論 계승과 수용 양상고찰〉(2007)
- 〈王夫之의 杜甫 시가창작에 대한 비평론〉(2008)
- 〈王夫之 杜甫詩歌에 대한 好評論〉(2008)
- 〈王夫之의 李白詩歌 품평론〉(2009)
- 〈王夫之의 蘇軾 詩文 비판론 初探〉 (2009)
- 〈王夫之「連珠二十八首」의 明朝에 대한 志操‧忠貞사상과 反淸의식 고찰〉(2010)
- 〈王夫之〈連珠〉의 형식과 표현수법 연구〉(2010)
- 〈王夫之≪薑齋文集≫의 論三首에 대한 詮釋〉(2010)
- 〈言語修辭로서 ‘題旨情境’의 이론배경고찰〉(2011)
- 〈王夫之의「惜餘鬒賦」考釋 〉(2011)
- 〈王夫之의「倣符命·繹思」에 대한 考釋〉(2012)
- 〈王夫之 詩論 형성배경 고찰(2)〉(2012)
- 〈王夫之≪薑齋文集≫의 墓誌銘表四首 詮釋〉(2012)
- 〈王夫之《夕堂永日緖論·外篇》의 ‘經義’論 고찰(1)〉(2013)
- 〈王夫之《夕堂永日緖論·外篇》의 ‘經義’論 고찰(2)〉(2013)
- 〈李白「古風」五十九首 譯解(3) (제12수에서 제19수까지)〉(2013)
- 〈李白〈古風〉五十九首譯解(1)(8完)(제52수에서 제59수까지)〉(2014)
- 〈李白〈登覽〉三十六首譯解(1)(제1수에서 제6수까지〉(2014)
- 〈王夫之 ≪薑齋文集ㆍ書後二首≫ 解題와 譯註〉(2014)
- 〈王夫之 ≪薑齋文集ㆍ尺牘十首≫역주와해재〉(2014)
- [저역서]
- 《王夫之 시가 사상과 예술론》(2008)
- 《薑齋詩話》(2008)
- 《人間詞話》 (2009)
- 《말힘과 글힘을 키워주는 교양한자》(2014)
- [언론칼럼]
- 동아일보: (기고) [愛호박? 두렵君?] (2006. 12. 27)
- 동아일보: (기고) [한자배우기 열풍이 반가운 이유] (2008.12.23)
- 세계일보: (기고) [대만의 중국어 세계화서 배워야 할 것](2009.12.28 )
- 을지가족: [고사성어 한토막 欲速不達](2012.9/10)
- 을지가족: [고사성어 한토막 苛政猛於虎](2012.11/12)
- 을지가족:[고사성어 한토막 刎頸之交](2013.5/6)
수상실적
리스트
- 교양학부: 대전(TEL: 042-259-1523) khs@eulji.ac.kr, 성남·의정부(TEL: 031-740-7514~5)euedu@eulji.ac.kr
- 전체학과 바로보기
성남
- 보건과학대학
-
- 바이오융합대학
-
- 간호대학
-
- 교양학부
-